반응형

 

※ 해당 공략은 마인크래프트 1.12.2 버젼을 사용 했으며 Extra Utilities 2는 1.9.9 버젼을 사용 했습니다.

 

파이프 마지막 공략입니다! 이번에는 좀 더 어려울지 몰라요!

 

 

Transfer와 Retrieval의 기본적인 원리를 아셨을 겁니다 item만 했으니 이번에는 액체까지 해 보겠습니다.

 

 

현재 1개의 드럼통(물)에서 5개의 드럼통이 빨대(Retrieval Node)를 꽂은 모습입니다. 

 

왼쪽부터 녹은 에메랄드, 녹은 금, 물, 용암, 피가 되겠습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저 5개의 통에 물이 다 들어가야 정상입니다. 그런데 물은 어디로 갔을까요?

 

 

정답은 바로 3번째 드럼통 입니다 제가 필터로 화이트리스트에 물만 걸어두었습니다. 나머지 드럼통 역시 해당 액체만 들어 올 수 있도록 필터로 표시를 했습니다. ^^ 밑에 제가 표시를 해 두었죠? 

 

 

보시면 물이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버그인지는 모르겠으나 Retrieval Node로 액체를 당기면 드럼통에 표시가 되지 않더라고요

 

 

 

심지어 해당 액체를 한번씩 넣어줬는데 Retrieval Node로 액체가 들어간 상태에서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럴때를 대비해서 미리 액체를 한번 넣어주면 좋을 것 같네요(그리고 그렇게 한다면 필터가 필요 없습니다 ^^ 물이 있는 드럼통이면 물만 들어갈 거니깐)

 

 

이렇게 말이죠 ^^

 

이번에는 Transfer Node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에메랄드 녹은 액체가 든 드럼통에 Transfer Node를 끼우고나니 첫번째 드럼통에 액체가 차며 드럼통 색이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저거 밑에다가 에메랄드 액체 표시해서 그런거 아니에요??

 

 

 

혹시나 몰라서 에메랄드가 들어가야할 드럼통을 지워버리니 이번엔 두번째 드럼통이 애메랄드로 가득차기 시작했습니다. 무조건 가장 가까이에 든 드럼통부터 채우나 봅니다.

 

 

 

이번에는 미리 1바스켓씩 각각 넣어보았습니다. 에메랄드, 금, 물, 용암, 피 1바스켓씩 넣고 이번에는 피 드럼통을 왼쪽에 채워보겠습니다 ^^

 

 

 

피로 가득찬 드럼통을 넣으니 알아서 피가 든 드럼통으로 분배가 됩니다 이번에는 필터 설정을 안했는데 똑똑하죠? ^^

 

 

액체부분은 여기서 끝내고... 그 다음에 설명할 아이템은 Flat Transfer 입니다 ^^

 

이 2개인데요 ^^

 

 

현재 빌드크래프트의 펌프에서 물을 퍼내려고 세팅을 했습니다. 펌프에 MJ를 주면요...

 

 

 

이렇게 펌프 -> Transfer Node -> Pipe -> 드럼통으로 물이 전달됩니다 이걸 더 간소화 할 수 없을까요? ^^

 

 

 

정답은 Flat Transfer(Fluid)를 옆에 붙여줍니다 그냥 오른쪽 클릭만 하면 되요 ^^ 떼려면 왼쪽 쉬프트키를 누르면서 마우스 왼쪽 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일단 붙인 후 드럼통을 옆에 세워두면...

 

 

이렇게 물이 차오릅니다! 노드에 파이프질을 할 필요가 없어요 ^^

 

 

 

이번에는 산업모드의 발전기와 전기로에 붙여보겠습니다.

 

 

 

이렇게 한 뒤... 전기로에서 금괴를 구워보겠습니다.

 

 

이렇게 구워진 금괴는

 

 

이렇게 옆으로 배출이 됩니다 ^^

 

 

 

아참 Flat Transfer 시리즈도 필터 설정이 가능합니다 ^^

 

이것으로 파이프 공략을 마치겠습니다.

 

 

앗... 샤에니씨 마지막 2개 남았잖아요 Transfer Filter와 Transfer Pipe Filter!

 

그런데 이 2가지는 저도 전혀 모르겠습니다 ㅠㅠ 아무리 위키와 외국 영상을 봐도 우선순위 등을 조절하거나 필터 역할을 한다고하는데 실제로 구현되는 영상도 못 찾았고 위키에서는 그렇다는데? 정도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당장 쓸 수 있는 부분부터 설명 해 드렸습니다 ^^

 

다음 글에는 노드 업그레이드를 제가 종종 써먹으면서 설명을 안 드렸는데 노드 업그레이드와 GP에너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